베트남 비자 발급의 번거로움 제거 촉구
관광 및 항공 산업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이후의 회복 속도를 높이겠다고 비자 요건을 완화하기를 정부에 다시 촉구했다.
관광 자문 위원회(Tourism Advisory Board)에 따르면 베트남은 국제 관광을 완전히 재개한 최초의 동남아 국가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지역의 회복 순위에서 최하위에 있다.
해외 관광의 회복률은 팬데믹 예전에 비해서 18.1%에 불과하고 싱가포르(30.9%)말레이시아(27.5%), 캄보디아(26.3%)인도네시아(22.9%)필리핀(22.1%)태국(22%). 등 주변국에 늦어지고 있다.
관광 자문 위원회의 크리스·파월(Chris Farwell)씨는 금요일 회의에서 베트남이 비자 문제 때문에 조기 재개방을 활용하지 못했다고 말했다고 교통(Giao Thong)신문이 보도했다.
올해는 약 350만명의 해외 방문자를 유치할 예정이며 이는 목표 치 500만명을 훨씬 밑돌면 그는 말했다.
그러나 태국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같은 다른 동남아 국가들은 목표를 달성했다고 그는 지적했다.
그는 정부가 더 많은 나라에 대한 비자 요건을 면제하여 방문자의 무비자 체류를 30~45일 연장하기로 회복에 박차를 가하라는 촉구했다.
현재 90일 받은 칠레를 제외하고 24개국 국민이 15-30일 간 비자 면제 받았고 다른 80개국에서 온 방문자는 “1개월 단수 전자 비자”이 제공된다.
파월 씨는 자국민이 온라인으로 비자를 받는 국가 리스트를 확대하고 e비자 절차를 간소화하기를 촉구했다.
30일 단수 전자 비자는 호주, 인도, 영국 및 미국 같은 국가 및 영토의 시민에게 제공된다.
관광 자문 위원회 회원인 사진·화이 남(Luong Hoai Nam)은 “베트남은 주변국보다 개방적이 아니라 태국의 65개국보다 24개국의 여행자에게만 비자를 면제하는 “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들은 베트남이 태국의 발자국에 따라야 하며 특히 미국 유럽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인도 같은 주요 관광 시장에서 더 많은 국민에게 비자를 면제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다.
저가 항공사”비엣토 제트”딘·비엣토·부엉이 전무 이사는 “비자 장벽은 가급적 빨리 제거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항공사는 최근 중국 같은 전통 시장에서 오는 방문객들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서 세계에서 2번째로 인구가 많은 시장에 진출하기 위해서 인도 도시에 가는 새로운 직항 노선을 개설했다.
그러나 비자는 여전히 인도인 관광객 유치의 주요 장벽으로 남았고, 항공 및 관광 산업이 급속히 회복할 수 있도록 이 문제가 가능한 한 빨리 해결돼야 한다고 그녀는 말했다.
베트남은 3월 15일 국경을 개방했지만 올해 첫 11개월 동안 외국인 방문자 수는 295만명에 그쳤다.
유행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에는 1800만명의 외국인 방문객들이 베트남을 방문했다.
Source:vnex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