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 32조 영업 손실 자세히

4분기 적자는 10조7670억원으로 분기 최대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 1년 동안 세 차례 요금을 인상했음에도 불구하고 LNG와 같은 연료비 상승을 감당하지 못했다.

올해 1분기 금리 인상에 이어 2분기 인상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한국전력공사(KEPCO)가 지난해 33조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하며 사상 최악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사진은 이날 오후 서울 중구

한국전력은 지난해 33조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사상 최악의 경영실적을 기록했다.

한전은 지난해 연결 기준 누적 영업손실이 32조6000억원이라고 24일 밝혔다.

1분기부터 4분기까지 누적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영업적자다.

이는 종전 연간 최대 영업적자였던 2021년 수준(5조8465억원)의 5.6배 수준이다.

분기별로 보면 지난해 4분기 영업손실은 10조7670억원으로 사상 최대였던 지난해 1분기 7조7869억원을 크게 넘어섰다.


지난해 한전 매출은 71조2719억원으로 2021년(60조6736억원) 대비 10조5983억원(17.5%) 증가했다.

매출액 중 전력판매수익은 3차례(4, 7, 10월) 판매단가 11.5% 상승과 평균가동률 상승에 힘입어 전년 대비 2.7% 증가한 66조 1,999억 원을 기록하였습니다.
가공 산업. 이는 2021년(57조3000억원)보다 15.5% 늘어난 규모다.

다만 연료비 상승 등으로 운영비는 103조7753억원으로 37조3552억원(56.2%) 증가했다.

지난해 한전 계열사의 연료비는 34조6690억원, 민간에너지기업의 전력구매는 41조9171억원이었다.

비용은 지난해 19조4929억원, 21조6190억원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한전 관계자는 “전력수요 증가에 따른 발전량 증가와 액화천연가스(LNG)·석탄 등 연료가격 급등에 따른 도매전력가격(SMP·계통한도 가격)이 2배 이상 올랐습니다.

한전은 금융위기 극복을 위해 비핵심자산 매각 등 향후 5년간 20조원(한전 14조3000억원, 그룹사 5조7000억원)의 재무개선을 목표로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재무 건강 계획, 업무 시간 조정 및 비용 절감.

또한 국민부담 등을 고려하여 비용원칙과 이에 따른 제도개선에 따라 전기요금 조정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지난해 한전 누적적자를 2026년까지 수정한다는 목표를 국회에 제출했는데, 올해 연간 전기요금 인상분(51.6원)의 4분의 1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