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사비 분석 및 안정화 방안 등

■ 2024년 건설비 분석(9월 24일 기준. MOVE) 2024년 상반기(2월 기준) 대비 업무시설/물류시설 건설비는 소폭 하향 안정화되었으며, 숙박/쇼핑 부문에는 변동이 없음 센터 및 데이터 센터. 마감재보다 골조비 비중이 높은 지산센터는 원자재 증가로 소폭 상승이 예상된다.
/ 층간소음 강화 정책으로 인해 주거시설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첨부파일(MOVE) 2024년 9월 기준 공사비 분석 자료입니다.
pdf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컴퓨터에 저장하세요.

네이버 MYBOX에 저장

■ 공공건축물 공사비 책정지침(서울시, 2024)

전기설계용역 별도 발주에 따른 전기공사비

첨부파일 : 2024년 공공건축물 건축비 견적 지침.pdf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컴퓨터에 저장하세요.

네이버 MYBOX에 저장

공사비정보광장공사비, 공사비정보광장, 공사비정보 plazapcae.g2b.go.kr

■ 건설비 안정화를 통한 건설산업 활성화 전략 (건설비 안정화를 통한 건설산업 활성화 전략 세미나. 2024. 12. 02)01. 건설비 상승이 사업성에 미치는 영향과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방향(이윤홍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겸임교수) (1) 부동산 시장진단

(2) 정부 부동산 정책의 문제점

(3) 개발사업의 타당성 저하 원인

(4) 사업타당성 분석 사례

(5) 건설산업 전반의 위기

(6) 건설산업 활성화 전략

02. 정부의 건설비안정계획 실효성 제고를 위한 보완방안 (정형승 현대엔지니어링 차장) (1) 건설비 분쟁 사례

(2) 공사비 상승 원인 ① 원자재 가격 상승

② 인건비 상승

③ 정부 지침

④ 발주처의 요구사항 증가

(3) 건설비 안정을 위한 정책제언

03. 건설부지 공사기간 연장의 원인과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합리적인 규제완화 조치(김영덕 한국설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 (1) 논의 배경

(2) 공사 지연 원인 및 최근 동향

(3) 공사비 및 공사지연과 관련된 주요 이슈

(4) 공사기간 단축을 위한 합리적인 규제완화 방안

04. 숙련공 훈련인증 및 보조인력 대체로봇을 통한 공사비 안정화 방안 (경북대학교 로봇·스마트시스템공학부 김법렬 교수) (1) 시공기술 훈련 및 인증을 통한 숙련공 양성 ① 배경과 필요성

② 건설분야 초단기 기능인력의 육성 및 공급을 위한 추진방향

③ 정책제언

④ 구체적인 조치

(2) 기능성 대체 로봇을 활용한 공사비 안정화 ① 보조로봇 등장의 필요성과 배경

② 기능성 로봇을 활용한 공사비 안정화